google-site-verification=CU_nae4My4rVgaM057_RWZd-od3w8yFGeNNerzC5Z0I [책리뷰_서툰 어른을 위한 인생 수업_서평] 파도에 배가 흔들리는 것이 배의 잘못은 아니지 않은가
본문 바로가기
책살롱

[책리뷰_서툰 어른을 위한 인생 수업_서평] 파도에 배가 흔들리는 것이 배의 잘못은 아니지 않은가

by 현명한영애씨 2025. 3. 28.
728x90
반응형


지금까지의 삶을 돌아보면
좋을 때도 있었고 나쁠 때도 있었다.
평균적으로 생각해 보면
무난한 인생이었다.

하지만 '평균'은 숨은 단점을 감추고 있다.
바로 '매우 좋지 않음'을 '매우 좋음'으로
얼추 눈가림할 수 있다는 것이다.

수학 점수가 0점이어도
국어를 100점 맞으면 평균은 50점이 된다.
평균만 보면 다른 사람들은
'저 사람은 국어나 수학 둘 다
50점 정도인가 보네'란
생각을 할 것이다.

그게 아니라면
'수학은 잘하는데
국어는 잘 못하나 보네'라고
생각할 수 있다.

평균적으로 평범하다고 해서
모든 게 평범하진 않다.

삶의 평균이 무난하다고 해서
언제나 평탄한 삶을 살았다곤 볼 수 없다.
수학을 0점 맞은 사람이
50점인 사람처럼 보이듯
현재 누군가의 일상이 멋지다고 해서
항상 그런 삶을 살았다고 볼 수 없는 것이다.

현재의 모습으로 그 사람 전부를 판단하지
말아야 된다는 것이다.
과거가 쌓여 현재를 이루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현재의 모습으로 타인의 과거를
넘겨짚는 것도 위험한 행동이다.

최악의 상황을 상정하고
철저히 대비한다고 해서
피할 수 있다는 보장은 없다.
장마철임에도 일기예보를 확인하지 않고
나갔다가 비를 맞은 건 그 사람의 잘못이다.

하지만 일기예보에도 비 소식이 없어서
우산을 챙기지 않았다가
갑자기 비가 와서
옷이 젖은 걸 그 사람의
잘못이라 말할 수 있을까?

파도에 배가 흔들리는 게
배의 잘못은 아니다.
배가 흔들리고 좌초될 것 같은 상황에서
몰아치는 파도를 원망한들
무엇이 달라지겠는가.

파도를 원망하지도
그 배를 탄 자신의 선택을 자책하지도 말자.

***************************************

평균적으로 평범하다고 해서
모든 게 평범하진 않다..
작가님의 말씀에 깊이 공감한다.

현재의 모습으로
그 사람 전부를 판단할 수 없는 것이
결혼 직후 새로운 가족과의 관계속에서의
나의 삶은
감정적으로 또 경제적으로
그렇게 평탄하진 않았기 때문이다.

내가 선택한 사람과의
제2의 인생..
책임감으로 똘똘 뭉친
전투적인 삶이 아니었을까...

사람들은 나를 보고
근심 걱정 없는 사람..
복 받은 사람이라고 말을 한다.

그래. 그렇지
난 복 받은 사람이지.

나도 인정한다.
이만하면 잘 살았고
과거의 내가 잘 견뎠기에
지금의 내가 웃을 수 있는 것이니깐
겉으로 보는 평균으로 따지면
난 무난하게 행복한 사람
대열에 속할것이다.

728x90
반응형